김종빈.jpg

김종빈<한국건강관리협회 충북·세종지부 가정의학과>

◆성인 8명 중 1명 ‘우울증’ 우리나라 성인 8명 중 1명은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슬픔과 절망을 느끼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지만 이를 전문 의료기관 등에서 상담·치료받는 비율은 1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한국 성인의 우울증상 경험’ 보고서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12.9%가 '최근 1년 안에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성별로는 여성(16.5%)이 남성(9.1%) 보다 1.8배 많았고, 연령별로는 70세 이상(17.9%) > 60대(15.1%) > 50대(15.0%) > 40대(12.9%) 순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우울증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가구 소득별 우울증 비율은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우울증 경험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 저소득층이 15.3%로 가장 높게, 고소득층이 10.9%로 가장 낮은 비율로 조사됐다.

이 같은 현실에서도 우울증상을 경험한 사람 중 최근 1년간 정신건강 상담을 받은 경우는 9.7%로 100명중 10명 미만에 불과했으며, 상담기피 정도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젊은 층보다는 65세 이상 노인층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우울증, 여성이 더 많은 이유단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경규 교수는 여성에게 우울증이 많은 이유에 대해 “호르몬의 차이, 월경, 임신, 출산이라는 요소가 우울증에 관여하기도 하고, 남녀 간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가 서로 다르고, 스트레스에 대한 남녀 간의 대처능력의 차이 때문이기도 하다”고 설명하고 “여성의 뇌가 슬픔에 유난히도 민감하며, 생리와 임신, 분만 그리고 폐경이라는 특별한 시기에 성호르몬의 변화가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여성에서 우울증이 많다”고 부연했다.

◆인식개선·사회적 지원체계 필요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김윤아 연구원은 “우울증은 개인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장애를 유발하는 중요한 공중보건학적 문제일 뿐 아니라 우울증과 자살에 따른 사회경제적 부담도 10조3천800억 원(2011년 기준)에 이른다”며 “우울증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한 질환으로 적극적 인식 개선 노력과 함께 사회적 지원 체계를 갖춰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우울증 원인>

▶생물학적 요인 -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우울증이 초래될 수 있다.    약물치료는 이러한 신경전달 물질을 조절함으로써 우울한 기분을 개선

▶유전적 요인 - 우울증이 있는 부모나 형제, 친척이 있는 경우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높으나 병 자체가 유전되는 것은 아니므로, 우울증환자 가족이 모두 우울증에 걸리는 것은 아니다.

▶생활 사건과 환경적 스트레스 -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이별, 외로움, 실직, 경제적인 걱정 등의 생활사건은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신체질환 - 갑상선, 뇌졸중, 고혈압, 암, 당뇨병 등의 신체적인 질환이 우울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기도 하나, 반대로 우울증이 환자의 신체를 약화시켜 병에 걸리는 경우도 있다.

▶알코올과 약물요인 - 때때로 우울증은 일부 고혈압약, 결핵약, 피임약, 이뇨제나 두통약 등과 같은 특정약물의 부작용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다른 약물과 술을 같이 마시게 되면 우울증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충북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